수원시, 알려지지 않은 독립운동가 15명 포상 신청
- 김현우
- 기사입력 2019.08.11
수원시가 명확한 독립운동 행적이 있지만 알려지지 않은 독립운동가를 발굴한 가운데 사진은 독립운동가 최경창의 서대문형무소 수감기록카드. 사진=수원시
수원시가 명확한 독립운동 행적이 있지만 알려지지 않은 독립운동가를 발굴 직접 발굴했다.
11일 수원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9일 국가보훈처에 수원지역 독립운동가 15명에 대한 독립유공자 포상을 신청했다.
이날 독립유공자 포상 신청을 한 15명은 수원박물관과 수원시정연구원 수원학연구센터가 함께 진행한 '경기도 독립운동 인물 발굴사업'으로 공적을 밝혀낸 '우선 대상자'다.
독립운동가 후손들이 개인적으로 독립운동가를 발굴하고, 업적을 조명하는 것은 한계가 있어 수원박물관은 수원학연구센터와 함께 2017~2018년 발굴사업을 전개했고,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수원지역 독립운동가 113명을 찾아낸 바 있다.
포상 신청을 한 독립운동가는 안춘경(의병, 1878~?)·이희경(3.1운동, 1899~?)·이남규(3.1운동, 1897~?)·김영진(3.1운동, 1893~?)·유병기(국내활동, 1895~?)·구현서(국내활동, 1921~?)·이윤강(국내활동, 1899~?)·박기서(국내 항일, 1891~?)·홍종갑(국내 항일, 1901~?)·장주문(국내 항일, 1904~?)·정청산(국내활동, 1909~?)·차계영(학생 활동, 1913~1946)·이무소(국내 항일, 1902~?)· 최경창(국내 항일, 미상), 홍종례(국내 항일, 1919~?) 등이다.
안춘경은 수원군 광덕면·청룡면 등지에서 의병으로 활동하다가 일본 경찰에 체포돼 징역 7년을 선고받았고, 3·1운동 당시 학생이었던 이희경·이남규·김영진 등 3명은 3·1운동이 시작되자 탑골공원과 남대문역 등 시내를 돌면서 만세시위에 참여했다.
유병기는 '신천지 필화사건'으로 징역 1년을 선고받았다.
국내에서 항일운동을 한 구현서·이윤강·박기서·홍종갑·장주문·정청산·차계영·이무소·최경창·홍종례 등은 군자금 모금, '격문 사건', 적색노조·적색농민조합· 조선공산당 재건 사건 등에 연루돼 재판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수원박물관을 중심으로 독립운동 인물발굴 사업을 전개해 온 시는 수원기생들의 만세운동을 주도한 김향화(2019년), 19살에 비밀결사 운동을 주도하다 순국한 '수원의 유관순' 이선경(2010년), 이선경과 함께 구국민단에서 비밀결사 운동을 벌인 최문순(2018년) 등 수원지역 독립운동가의 유공자 표창을 이끌어 낸 바 있다.
염태영 시장은 "독립운동가들의 헌신 덕분에 광복 이후 후손들이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지키며 살아갈 수 있었다"면서 "지방자치단체와 국가가 알려지지 않은 독립운동가를 적극적으로 발굴해 그들을 기억하고 기념하는데 앞장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수원시는 앞으로도 이름 없는 독립운동가를 꾸준히 발굴하고, 국가보훈처에 포상 신청을 해 그분들을 세상에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우기자/kplock@joongboo.com
저작권자 © 중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중부일보(http://www.joongboo.com)
'◐ 수원특례시의 종합 > *수원특례시.이슈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원시, ‘스마트도시 계획 수립’ 내년 5월 완료 예정 (0) | 2019.08.30 |
---|---|
[사설] 수원시의 혁신정신 벤치마킹 가치 있다 - (발췌: 민선시장의 정확한 정책의 목표와 공무원들의 관례에 얽매이지 않은 과감한 도전이 일궈낸 정책일 것이다.) (0) | 2019.08.20 |
수원시 승격 70주년 행사, 시민이 중심된다 -70주년 기념식, 역사의 길 개장, 시민대토론회, 학술심포지엄, 특별전시 등 기념행사 (0) | 2019.08.08 |
수원-용인·부산 북구-사상구 경계지역 행정구역 내달 조정 (0) | 2019.08.07 |
수원시, 일본경제보복 맞서 '신물산장려운동' 시작 (0) | 2019.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