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기국제공항(내용 수정=하위로 옮김 예정

(1)= [표류하고 있는 수원군공항·(上)연내 후보지 선정하는 대구통합신공항 사업]공항사업 찬성 주민 '백년대계'를 봤다/(2)= 표류하고 있는 수원군공항 이전사업, 궤도 오른 대구통합신공항사업

(1)= [표류하고 있는 수원군공항·(上)연내 후보지 선정하는 대구통합신공항 사업]공항사업 찬성 주민 '백년대계'를 봤다/(2)= 표류하고 있는 수원군공항 이전사업, 궤도 오른 대구통합신공항사업

사진이 보이지 않을 경우는 = 주소줄 클릭하세요)

https://blog.naver.com/jcyang5115/221519446619

******( 中 제목 또는 내용 분리 )******
[차례]
(1)[표류하고 있는 수원군공항·(上)연내 후보지 선정하는 대구통합신공항 사업]공항사업 찬성 주민 '백년대계'를 봤다
(2)표류하고 있는 수원군공항 이전사업, 궤도 오른 대구통합신공항사업
******( 中 제목 또는 내용 분리 )******
(1)[표류하고 있는 수원군공항·(上)연내 후보지 선정하는 대구통합신공항 사업]공항사업 찬성 주민 '백년대계'를 봤다

김영래 기자

발행일 2019-04-22 제8면

 


최근 4년 극렬한 반대 부딪혔지만
인구 증가등 긍정적 효과 기대 커져
관·민 공동으로 발 빠르게 준비중
군위·의성 경계지역 '축제 분위기'




수원군공항 이전을 요구하는 수원·화성시민들의 외침이 4년째 외마디로 그치고 있다.

10조원대에 달하는 대규모 사업이 예비후보지 선정발표 후 단 한 발짝도 내딛지 못하고 있다.

사업의 경제·사회적 효과는 제대로 공개조차 되지 않은 채 군 공항 이전 사업은 수원·화성지역·정치권간 '언쟁'거리가 됐다. 반면, 수원군공항 보다 더 늦게 시작된 '대구통합신공항(K2, 민간공항)사업'은 연내 후보지 선정을 앞두고 있다.

대구통합신공항사업이 성공할 수 있었던 계기, 수원군공항 사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본다. → 편집자 주

지난 2017년 2월 수원 군공항 이전 예비후보지로 '화성 화옹지구'가 선정된 이후 국방부와 경기도, 수원시, 화성시 등 4자가 참여하는 이전 후보지 선정 심의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

'예비' 자(字)도 떼지 못한 채 표류하고 있다.

반면, 이전사업에 뒤늦게 합류한 대구시는 연내 '대구통합신공항(K2, 민간공항)사업' 후보지 선정을 앞두고 있다. 후보지가 선정되면, 군 공항 이전 사업의 마무리 단계인 사업시행에 나서게 된다.

대구통합신공항사업도 최근 4년간 극렬한 반대가 있었다.

이랬던 대구지역이 관과 민이 공동으로 '단군 이래 최대 사업'을 발 빠르게 준비하고 있다.

지난 18일 취재진이 찾은 대구통합신공항이전 후보지 중 한 곳인 군위·의성 경계지역은 축제 분위기였다.

수원군공항과 함께 예비후보지가 선정·발표된 후 군위지역 마을 곳곳에 빨간 깃발이 꽂혔고, 자신들이 뽑은 단체장을 끌어내리려 했다. 그러나 현재 이곳에는 통합신공항 연내 후보지 선정을 기원하는 현수막이 내걸렸다.

군위·의성 경계지역에서 만난 주민들은 "처음에는 군 비행장이 들어선다고 해 소음피해를 우려, 군수까지 끌어 내리려 했다"며 "알아보니 '백년대계를 책임질 사업이었다"고 했다.

주민들은 특히 7조원대의 사업과 13조원의 생산유발, 12만명의 취업이 유발된다는 것에 희망을 걸었다. 5천억원에 달하는 이전지에 대한 지원사업비도 주민이 결정한다.

인구 증가 등 종합적인 효과에 지역민들은 마을보존에서 개발을 선택한 것이다.

 

류병찬(60) 대구 군위 소보지역 공항유치위원장은 "처음에는 소음 피해가 우려돼 반대했었다"며 "아이 울음소리가 없는 시골에 7조원대의 사업이 추진될 경우 지역 개발은 물론 인구유입 효과까지 있다. 반드시 추진되어야 한다"고 했다.

대구광역시 통합신공항추진본부 이전사업과 황선필 과장은 "대구통합신공항사업이 시작됐을 당시 '과연 사업을 할 수 있을까' 할 정도로 반대가 심했다"며 "대구신공항사업은 연내 이전부지 확정 후 이전 주변 지역 지원계획을 수립, 이전사업지 개발과 이전사업지에 대한 지원사업, 종전부지사업을 시행하면 된다"고 했다.

대구/김영래기자 yrk@kyeongin.com

<저작권자 ⓒ 경인일보 (www.kyeongi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小 제목 또는 내용 분리 )***
(2)표류하고 있는 수원군공항 이전사업, 궤도 오른 대구통합신공항사업

대구, 처음 극렬 반대, 이후 단군이래 최대 사업 발빠른 사업추진

김영래 기자

입력 2019-04-21 17:18:53

 

 

수원군공항 이전을 요구하는 수원·화성시민들의 외침이 4년째 외마디로 그치고 있다. 10조원대에 달하는 대규모 사업이 예비후보지 선정발표 후 단 한 발짝도 내딛지 못하고 있다.

사업의 경제·사회적 효과는 제대로 공개조차 되지 않은 채 군 공항 이전 사업은 수원·화성간 '언쟁'거리가 됐다.

반면, 수원군공항 보다 더 늦게 시작된 '대구통합신공항(K2, 민간공항)사업'은 연내 후보지 선정을 앞두고 있다.



■표류하는 수원군공이전사업, 연내 후보지 선정하는 대구통합신공항사업

지난 2017년 2월 수원 군공항 이전 예비후보지로 '화성 화옹지구'로 선정된 이후 국방부와 경기도, 수원시, 화성시 등 4자가 참여하는 이 전 후보지 선정 심의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

'예비'자(字)도 떼지 못한 채 표류하고 있다.

반면, 이전사업에 뒤늦게 합류한 대구시는 연내 '대구통합신공항(K2, 민간공항)사업' 후보지 선정을 앞두고 있다. 후보지가 선정되면, 군 공항 이전 사업의 마무리 단계인 사업시행에 나서게 된다.

대구통합신공항사업도 최근 4년간 극렬한 반대가 있었다.

이랬던 대구지역이 관과 민이 공동으로 '단군 이래 최대 사업'을 발 빠르게 준비하고 있다.

지난 18일 취재진이 찾은 대구통합공항이전 후보지 중 한 곳인 군위·의성 경계지역은 축제 분위기였다.



수원군공항과 함께 예비후보지가 선정, 발표된 후 군위지역 마을 곳곳에 빨간 깃발이 꽂혔고, 자신들이 뽑은 단체장을 끌어내리려 했다. 그러나 현재, 이곳에는 통합군공항 연내 후보지 선정을 기원하는 현수막이 내걸렸다.

군위·의성 경계지역에서 만난 주민들은 "처음에는 군 비행장이 들어선다고 해 소음피해를 우려, 군수까지 끌어 내리려 했다"며 "알아보니 '백년대계를 책임질 사업이었다"고 했다.

주민들은 특히 7조원대의 사업과 13조원의 생산유발, 12만명의 취업 유발된다는 것에 희망을 걸었다. 5천억원에 달하는 이전지에 대한 지원사업비도 주민이 결정한다.

인구 증가 등 종합적인 효과에 지역민들은 마을보존에서 개발을 선택한 것이다.

류병찬(60)대구 군위 소보지역 공항유치위원장은 "처음에는 단순히 소음 피해가 우려돼 반대했었다"며 "아이 울음소리가 없는 시골에 7조원대의 사업이 추진될 경우 지역 개발은 물론 인구유입 효과까지 있다, 반드시 추진되어야 한다"고 했다.



■대구통합신공항사업 어떻게 성공할 수 있었을까.

연내 후보지 선정을 앞두고 있는 '대구통합신공항(K2, 민간공항)사업' 성공은 주민들의 통합의자도 한 몫 했지만 단체장의 강한 의지가 있어 가능했다.

'주민소환제'카드까지 꺼내 든 반대는 지역 단체장과 지역 정지인들의 끊임없는 추진 의지로 주민들의 이해를 구했다.

주민들은 특히, 통합공항 이전이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를 넘어 지역개발이라는 점에 마음을 열었다.

실제 지역 단체장과 정치인들은 통합신공항 추진시 발생되는 효과를 사업추진 기조로 삼았다.



경북지역에 30년 동안 3조 6천 151억 원의 생산유발액, 1조 9천 852억 원의 부가가치유발액, 4만 9천 228명의 취업유발효과와 통합공항 운영기간을 30년으로 가정할 때 군부대 주둔으로 연간 328억 원의 예산지출, 1천 515억 원의 부대원 소비지출이 발생한다는 '군공항 이전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용역'결과가 추진 의지가 됐다.

결국 지역 단체장과 지역 정치인들이 지역 개발 효과라는 카드를 들고 반대 주민들을 설득해 한마음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이로써 대구신공항사업은 연내 이전부지 확정 후 ▲이전 주변 지역 지원계획 ▲주민투표 ▲이전사업지와 지원사업, 종전부지사업을 시행하면 된다.

 

대구광역시 통합신공항추진본부 이전사업과 황선필 과장은 "대구통합신공항사업이 시작됐을 당시 '과연 사업을 할 수 있을까' 할 정도로 반대가 심했다"며 "단체장과 지역 정치들이 적극적인 사업추진 의지로 주민들을 설득했다, 이제는 민관이 함께 이전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김영래기자 yrk@kyeongin.com

<저작권자 ⓒ 경인일보 (www.kyeongi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