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부동산의 칸 ../*부동산 관련,기고 칼럼 등

'높은 집값' 심각한 경기 침체 조짐- ADB의 경고 "한국 높은 집값, 경제위협"… 내집 마련 부담 亞 1위

'높은 집값' 심각한 경기 침체 조짐- ADB의 경고 "한국 높은 집값, 경제위협"… 내집 마련 부담 亞 1위

중국·홍콩·대만 제치고 1위

엄주연 기자 프로필보기 | 2018-09-30

 

▲ⓒ뉴데일리


 

한국의 내 집 마련 부담이 중국,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 등 아시아 주요국 가운데 가장 큰 곳으로 나타났다.

30일 아시아개발은행(ADB)의 '아시아 역내 경제전망 수정'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최근 집값 상승이 가파른 곳으로 경제 위협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는 ADB가 한국, 중국,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 인도네시아 등 6개국을 대상으로 각국의 5분위별 월평균 가구 소득과 50㎡(약 15평), 70㎡(21평)의 집을 사고 20년간 갚아야 할 주택담보대출의 월평균 상환금을 비교한 결과다.

ADB는 "높은 집값은 주택 가격이 급락할 때 심각한 경기 침체에 빠질 수 있는 조짐을 보여준다"며 "아시아 주요 도시, 특히 홍콩, 말레이시아, 중국, 한국, 대만에서 임대료 대비 주택 매매 가격 비율이 최근 상승하고 있다"고 밝혔다.

통상 주택시장에서는 임대료가 매매 가격보다 주택의 실질 가치를 잘 나타내는 지표로 해석된다. 임대료 대비 주택 매매 가격이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은 가격에 거품이 껴있을 가능성을 의미한다는 설명이다.

주택구입 능력은 월평균 상환금이 소득의 40%를 초과하지 않아야 적정한 수준으로 판단했다.

한국에서는 상위 20%만 50㎡의 집을 살 때 주택구입 능력이 적정한 수준으로 나타났고하위 80%는 50㎡ 주택에서도 주담대 상환금이 가구 소득의 40%를 넘었다.

70㎡ 주택에서는 전체 분위가 모두 소득 대비 주담대 상환금이 40%를 초과했다.

중국은 하위 80%는 50㎡ 주택을 사는 데에도 상환금이 가구 소득의 40%를 넘었지만, 소득 상위 20%는 50㎡는 물론 70㎡ 주택을 살 때도 소득 대비 상환금이 40%를 초과하지 않았다.

태국도 중국과 마찬가지로 소득 상위 20%만 70㎡ 주택까지 마련해도 소득 대비 주담대 상환금이 40%를 넘기지 않았다.

분석 대상국 가운데에는 말레이시아가 내 집 마련 부담이 가장 적었다. 말레이시아에서는 소득 하위 20%를 제외하면 나머지 80%는 모두 50㎡, 70㎡ 주택을 마련하더라도 소득 대비 주담대 상환금이 40%를 밑돌았다.

최근 이들 지역의 집값 상승 요인으로는 경기 호황, 이촌향도 현상, 은행의 느슨한 신용정책, 완화적인 통화정책, 자금 유입량 급증 등이 꼽혔다.

ADB는 "주택은 아시아에서 중요한 개인 자산 중 하나이고 집값 변동은 가계의 순 자산과 소비·저축 여력에도 큰 영향을 준다"며 "주택 가격의 순환 사이클은 금융·거시 안정성에 심각한 위협이 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책 담당자들은 집값 움직임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 결과를 보고 받아야 한다"며 "경기 안정성을 떨어뜨릴 정도로 집값의 급격한 조정 없이 더 많은 사람이 내 집 마련이 가능하도록 신중하게 균형을 맞춰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