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투기과열지구 광명·하남 편입…“DTI 한도 40%로 낮아지는 등 금융권 문턱도 높아진다” / (2)=서울 종로·동대문·동작·중구 '투기지역'…광명·하남은 '투기과열지구' 추가 지정 | ||
******( 中 제목 또는 내용 분리 )****** | ||
[차례] | ||
(1)투기과열지구 광명·하남 편입…“DTI 한도 40%로 낮아지는 등 금융권 문턱도 높아진다” | ||
(2)서울 종로·동대문·동작·중구 '투기지역'…광명·하남은 '투기과열지구' 추가 지정 | ||
******( 中 제목 또는 내용 분리 )****** | ||
(1)투기과열지구 광명·하남 편입…“DTI 한도 40%로 낮아지는 등 금융권 문턱도 높아진다” 정신영 기자2018.08.27 승인
[이코노뉴스=정신영 기자] 정부가 최근 집값이 단기 급등하고 있는 종로구, 중구, 동대문구, 동작구 등 4개 구를 '투기지역'으로 추가 지정해 대출 규제 등 수요 억제에 대응키로 했다. 경기 광명시, 하남시 등 2곳은 투기과열지구로 추가 지정했다. 조정대상지역은 경기 구리시, 안양시 동안구, 광교택지개발지구 등이 신규 지정되고 부산 기장군(일광면)은 지정이 해제됐다.
이번에 추가 지정되지 않았지만 남은 서울 10개 구와 성남시 수정구 등 가격 불안 우려 지역은 상시 집중 모니터링을 실시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국지적 불안이 발생하고 있는 서울과 수도권 일부 지역으로의 유동자금의 과도한 쏠림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투기지역, 투기과열지구, 조정대상지역을 이같이 신규 지정하기로 했다고 27일 밝혔다. 우선 부동산가격안정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종로구, 중구, 동대문구, 동작구 등 4개구가 투기지역으로 추가 지정된다. 종로구(0.50%), 중구(0.55%), 동대문구(0.52%), 동작구(0.56%)는 7월 주택가격 상승률이 0.5%가 넘는 등 높은 상승률을 기록중이다. 이들 지역은 도심과 강남·여의도와 가깝고 이미 투기지역으로 지정된 용산, 영등포와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와 인접해 최근에도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투기지역으로 지정되면 투기과열지구 지정시 적용되는 청약·금융·세제 등 19종의 규제 외에 주택담보대출 규제가 '차주(대출자)당 1건'에서 '세대당 1건'으로 강화된다. 또 주택담보대출 만기연장 제한, 신규 아파트 취득 목적의 기업자금대출 제한 등이 적용된다. 이에따라 투기지역은 앞서 지정된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강동구, 용산구, 성동구, 노원구, 마포구, 양천구, 영등포구, 강서구 등과 함께 서울내 14개 구로 확대됐다. 이와함께 투기과열지구로는 서울 전역과 경기 과천시. 성남 분당구, 대구 수성구, 세종시 등에 이어 경기 광명시와 하남시 등 2개 지역이 추가로 지정됐다. 투기과열지구는 주택가격상승률이 물가상승률보다 현저히 높은 지역 중에서 지정하는데 이들 지역은 투기과열지구 지정에도 집값이 안정되지 않거나 지정이 필요할 만큼 불안한 흐름이 지속되고 있는 곳이다. 뉴시스에 따르면 특히 광명시와 하남시는 최근 3개월 주택가격상승률이 각각 1.11%, 1.34%를 기록하는 등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올해 평균 청약경쟁률도 광명시는 18.5대 1, 하남시는 48.2대 1로 높은 수준을 기록중이다. 이 같은 투자 열기가 주변 지역으로 확산될 경우 지역 주택시장의 불안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지역은 앞으로 주택담보대출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한도가 40%로 낮아지는 등 금융권 문턱도 높아진다. 재건축 조합원 지위양도 금지, 분양권 제한 등의 규제도 추가로 적용 받게 된다. <저작권자 © 이코노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小 제목 또는 내용 분리 )*** | ||
(2)서울 종로·동대문·동작·중구 '투기지역'…광명·하남은 '투기과열지구' 추가 지정
경기 구리시 등은 조정대상지역 추가…수도권에 신규 택지 총 44곳 조성 계획도 밝혀머니투데이 김사무엘 기자 입력 : 2018.08.27
서울 종로·중구 등 4개 자치구가 투기지역으로, 경기 광명·하남시가 투기과열지구로 추가 지정됐다. 조정대상지역에는 경기 구리시, 안양시 동안구, 광교지구가 추가됐지만, 부동산 과열이 해소된 부산 기장군은 제외됐다. 김사무엘 samuel@mt.co.kr
안녕하십니까. 머니투데이 김사무엘입니다. | ||
'◐ 경제.부동산의 칸 .. > *아파트.단독.주거포함_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년 새 7억 급등…청약조정지역 비웃는 광교신도시 "상승세 더 낙관적" /약발 안먹히는 광교신도시, 아파트값 일주일새 1.37% 수직상승 (0) | 2018.09.10 |
---|---|
"과천에 미니신도시급 택지 물색…경기도 8곳 3만9천호 추가"(종합) (0) | 2018.09.05 |
수도권 공공택지 14곳 추가 지정… 유력 후보지 어디? (0) | 2018.08.28 |
[알쏭달쏭 부동산] 모르면 낭패…지역주택조합 가입 전 알아야 할 것 (0) | 2018.08.27 |
치솟는 분양가…착한 분양가 아파트 어디? (0) | 2018.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