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덕원~수원 복선전철, 4개 지자체 역사 신설 비용분담 문제로 지연
안양, 수원, 용인, 화성 등 4개 지역의 역사 신설 비용분담 문제로 지연
이석철 기자
입력 2017-08-22 15:03:42
인덕원~수원선 노선도 |
인덕원~수원 복선전철 사업이 안양, 수원, 용인, 화성 등 4개 지역의 역사 신설 비용분담 문제로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국토부가 신창현 더불어민주당(의왕·과천)의원에게 보고한 자료에 따르면 안양은 호계사거리역 910억원, 수원은 교육원삼거리역 741억원, 용인은 흥덕역 1천580억원, 동탄은 능동역 986억원 등 역사 신설비용 총액이 3천983억원이 소요되어 당초 사업비 2조 4천587억원에서 2조 8천570억원으로 16.2%가 늘어났다.
지난해 4월 기획재정부는 KDI에 사업비 증액에 따른 설계변경 적정성 검토를 의뢰했고 KDI는 국토부에 4개역 신설이 부적정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에 국토부는 역사 신설비용의 50%를 지자체가 부담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으나 용인시를 제외한 3개 지자체는 30% 부담안을 제시한 상태에서 기획재정부는 지자체 100% 부담을 재검토 조건으로 내세우고 있어 계속 협의 중이다.
신 의원은 이에 대해 "인덕원~수원 복선전철사업은 계획을 세우는 데만 10년이 걸렸다. 국토부와 기재부, 4개 지자체가 역사 신설 비용의 지자체 부담비율을 조속히 확정하여 내년에는 착공할 수 있도록 국토부와 기재부 장관에게 촉구하겠다"고 밝혔다.
국토부가 신창현 더불어민주당(의왕·과천)의원에게 보고한 자료에 따르면 안양은 호계사거리역 910억원, 수원은 교육원삼거리역 741억원, 용인은 흥덕역 1천580억원, 동탄은 능동역 986억원 등 역사 신설비용 총액이 3천983억원이 소요되어 당초 사업비 2조 4천587억원에서 2조 8천570억원으로 16.2%가 늘어났다.
지난해 4월 기획재정부는 KDI에 사업비 증액에 따른 설계변경 적정성 검토를 의뢰했고 KDI는 국토부에 4개역 신설이 부적정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에 국토부는 역사 신설비용의 50%를 지자체가 부담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으나 용인시를 제외한 3개 지자체는 30% 부담안을 제시한 상태에서 기획재정부는 지자체 100% 부담을 재검토 조건으로 내세우고 있어 계속 협의 중이다.
신 의원은 이에 대해 "인덕원~수원 복선전철사업은 계획을 세우는 데만 10년이 걸렸다. 국토부와 기재부, 4개 지자체가 역사 신설 비용의 지자체 부담비율을 조속히 확정하여 내년에는 착공할 수 있도록 국토부와 기재부 장관에게 촉구하겠다"고 밝혔다.
과천/이석철기자 lsc@kyeongin.com
<저작권자 ⓒ 경인일보 (www.kyeongi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수원특례시 주요 관심사업 등 종합 > -수인선,신수원선,분당선,GTX-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덕원~수원~동탄 복선전철, 내년 설계·2019년 착공 (0) | 2017.12.15 |
---|---|
뒤로 가는 경기도 광역철도 - 수인선 3단계 수원역 ~ 한양대역 두 차례나 연장돼 2019년 말 준공 (0) | 2017.12.07 |
신수원선 역사 추가비용 ‘지자체 분담’ 제시 논란 - 국토부, 4개 역사 신설 재정확충방안 논의 중 제시 (0) | 2017.08.03 |
경부·분당·과천·일산 급행열차 확대…수도권 더 빨라진다 (0) | 2017.07.10 |
수인선 수원구간 '테마공원' 조성 (0) | 2017.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