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경기지역 미분양 주택, 20개월만에 최저
안경환 2017년 06월 29일 목요일
올해 들어 경기지역 미분양 주택이 빠르게 소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경기도내 미분양 주택은 총 1만1천958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1만3천309가구 대비 1천351가구(10.2%)가 감소한 수치다.
지난해 말 1만3천362가구에서 1만5천92가구로 급증하며 단기 고점을 찍은 1월에 비해서는 20.8%(3천134가구)가 줄었다.
특히 2015년 9월 1만1천534가구 이후 20개월만에 가장 낮았다.
월별로는 1월 1만5천92가구, 2월 1만4천492가구, 3월 1만4천465가구, 4월 1만3천309가구 등으로 4개월 연속 하락했다.
규모별로는 60~85㎡ 가 8천174가구로 미분양 주택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어 85㎡ 이상 2천714가구, 60㎡ 이하 1천70가구 등의 순이었다.
시·군별로는 용인시가 3천196가구로 가장 많았고, 평택시(1천913가구)와 화성시(1천488가구), 안성시(1천199가구), 오산시(1천29가구) 등의 미분양 주택도 1천가구가 넘었다.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후 미분양 주택은 1천970가구로 전월 2천54가구에 비해 84가구(4.1%)가 줄었다.
이 기간 전국의 준공후 미분양 주택은 1만74가구로 전월 9천587가구 대비 487가구(5.1%)가 증가했다.
한편,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전월 6만313가구 대비 3천454가구(5.7%)가 준 5만6천859가구로 집계됐다.
안경환기자
28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경기도내 미분양 주택은 총 1만1천958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1만3천309가구 대비 1천351가구(10.2%)가 감소한 수치다.
지난해 말 1만3천362가구에서 1만5천92가구로 급증하며 단기 고점을 찍은 1월에 비해서는 20.8%(3천134가구)가 줄었다.
특히 2015년 9월 1만1천534가구 이후 20개월만에 가장 낮았다.
월별로는 1월 1만5천92가구, 2월 1만4천492가구, 3월 1만4천465가구, 4월 1만3천309가구 등으로 4개월 연속 하락했다.
규모별로는 60~85㎡ 가 8천174가구로 미분양 주택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어 85㎡ 이상 2천714가구, 60㎡ 이하 1천70가구 등의 순이었다.
시·군별로는 용인시가 3천196가구로 가장 많았고, 평택시(1천913가구)와 화성시(1천488가구), 안성시(1천199가구), 오산시(1천29가구) 등의 미분양 주택도 1천가구가 넘었다.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후 미분양 주택은 1천970가구로 전월 2천54가구에 비해 84가구(4.1%)가 줄었다.
이 기간 전국의 준공후 미분양 주택은 1만74가구로 전월 9천587가구 대비 487가구(5.1%)가 증가했다.
한편,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전월 6만313가구 대비 3천454가구(5.7%)가 준 5만6천859가구로 집계됐다.
안경환기자
![]() |
▲ 사진=연합(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
<저작권자 ⓒ 중부일보 (http://www.joongbo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경제.부동산의 칸 .. > *아파트.단독.주거포함_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또 슬금슬금 오르는 집값… 김현미 “청약制 손볼 것” (0) | 2017.07.08 |
---|---|
[부동산캘린더] 분양시장 열기 고조…내주 22곳 청약 (0) | 2017.07.02 |
서울시의 역세권 ‘청년주택'이 전국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0) | 2017.06.28 |
[그래픽] 기혼 1인 가구 312만 시대 (0) | 2017.06.22 |
[6.19 부동산 대책] 지역별·계층별 맞춤형 ‘핀셋’…투기과열지구 지정 안해 (0) | 2017.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