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지역_서울 경기 및 지방의 종합/*경기도의회(의장:김진경 부의장:정윤경·김규창

오완석 경기도의회 운영위원장 "사회부지사, 새정치서 파견해야"

오완석 경기도의회 운영위원장 "사회부지사, 새정치서 파견해야"
데스크승인 2014.09.17  | 최종수정 : 2014년 09월 17일 (수) 00:00:01


   
▲ 오완석 경기도의회 운영위원장이 16일 오후 수원시 팔달구 경기도의회에서 경기도 공공기관장 인사청문회와 연정에 관해 중부일보와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이정선기자

경기도의회 다수당인 새정치민주연합 수석부대표인 재선의 오완석(수원9) 의원은 요즘 128명의 도의원 가운데 가장 바쁜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 당 수석 외에도 도의회 운영위원장, 도의회 인사청문회 도덕성검증위원장, 경기연정 정책협의회 위원 등 공식 직함만 4개다.

그는 “연정협상 과정에서 사회통합부지사 추천을 약속한 것은 아니지만, 합의한 20개 항목 등 정책적인 부분을 수행하려면 사회통합부지사가 필요하다고 본다”면서 “현재는 동료 의원들이 부정적이지만, 경기도·중앙당 국회의원들과 다시 논의를 하겠다. 사회통합부지사는 파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오 의원은 지난 6·4지방선거에서 신설된 수원 광교·원천동 선거구에서 당내 최다득표율(59.01%)로 재선에 성공했다.

―요즘 가장 바쁘신 것 같다.

“시간적 여유는 없지만 연속되는 일이기 때문에 힘들지는 않다. 처음 실시된 인사청문회에서 당 대표를 대신해 위원장을 맡았기 때문에 큰 책임감을 갖고 청문을 실시했다.”

―인사청문회를 해보니 어떤 점이 아쉬웠나.

“시간이 짧았고 법률적으로 지원이 부족했다. 짧은 기간동안 서류를 제출 받아 자료가 다양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도덕성 검증을 어디까지 비밀로 해야 하는지 기준을 설정하지 않아 아쉬움이 있었다. 도덕성검증에서 공개기준을 설정해 공개할 것은 공개해야되지 않나 생각한다.”

―사회통합부지사 파견 논의가 중단된 상태다.

“동료의원들이 거부한 상태지만 오늘 사회통합부지사를 포함한 조직개편안이 본회의를 통과했다. 현재는 동료의원들이 부정적 입장이지만 경기도, 중앙당 국회의원들과 다시 논의해 파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 대신 (사회통합부지사)파견 권한은 도의회 새정치연합이 행사해야 한다. 사회통합부지사는 관장하는 부서에 국한된 역할을 넘어 부지사로써 권한을 도지사와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담당 실·국 외에 인사, 정책적 의견 제시 등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남경필 지사도 이 부분은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생각한다.”

―의총에서 사회통합부지사 파견 안건이 부결됐다. 이유가 궁금하다.

“사회통합부지사를 파견하면 도의원들의 권한이 약화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였다.”

―경기연정이 성사되면서 운영위원장의 역할이 커졌다.

“이번에 의회사무처 직원 11명이 증원됐다. 각 상임위 별로 1명씩 배정하면 의정활동에 직접적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유급보좌관제가 관철될 때까지 법적 테두리 안에서 도지사와 연정을 통해서 의정활동 지원할 수 있도록 하겠다. 인사청문회를 해보니 인력과 시간이 많이 부족했다. 실질적으로 정책을 보좌해줄 수 있는 보좌인력을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 의원활동 공간 마련과 의회사무처 인사권 독립 등도 장기적으로 지방의회 발전하려면 필요하다고 본다.”

―보좌인력이 늘었다. 경기개발연구원의 의정연구센터는 어떻게 되나.

“현재처럼 운영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전면적으로 폐지하는 것은 안된다고 본다. 의정연구센터 인력 22명을 절반으로 줄여 새로 도의회에 배치될 입법보좌관과 함께 과거처럼 상임위 별로 2명씩 의정활동을 지원하도록 하겠다. 나머지 11명은 공무원 정원이 늘어나면 우선적으로 증원을 요구해 해결하겠다. 각 상임위별로 지원인력이 3명씩 배치되는 구조가 갖춰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정현기자/ljh@joongbo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