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공공기관의 이전이 시작되고 있지만 이전과 입주의 시간차이로 벌써부터 공동화 현상에 따른 우범지대 전락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사진은 이전후 수원의 대표적인 우범지대였던 수원 서둔동 서울대 농생대 일대 전경으로 현재는 관리권이 경기도로 이양되면서 공원으로 단장돼 시민들의 휴식처로 활용되고 있다. 경기일보 DB |
내달 농어촌公 떠나보내는 의왕 포일상권 ‘폭풍전야’ ‘최대 고객’ 이전하는데 부지는 매각안돼 공동화 우려 서울대 농생대 부지 우범화 전례… 지자체 대책 시급
9월 나주로 이전하는 한국농어촌공사 본사가 있는 의왕시 포일동 식당가는 요즘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폭풍 전 고요’라는 말이 정확한 표현일지 모른다. 주요 고객이던 1천여명의 공사 직원들이 한꺼번에 빠져 나가면 일대 상권이 붕괴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농어촌공사 부지와 건물은 이전을 한달 가량 앞두고도 아직 매각이 되지 않아 이 일대의 공동화 현상은 한동안 지속될 전망이어서 수십년간 함께해온 주변 상인들은 공사 이전으로 행여 매출이 떨어지지는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실제로 2년 전 기획재정부 등 13개 기관 4천900여명의 직원들이 세종시로 이전하고, 미래창조과학부 등 입주기관이 과천청사로 옮겨 올 때까지 1년 이상 청사 일대 상권이 심각한 타격을 입었던 좋지 않은 상황이 이곳에서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로 힘겨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농어촌공사의 한 직원은 “포일동 일대 식당가는 사실 공사 직원을 상대로 장사를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권”이라며 “이전하는 우리도 걱정이지만 남아 있는 분들의 생계가 걱정된다”고 말했다.
공동화 현상은 농어촌공사만의 문제가 아니다. 당장 이달 중으로 이전 계획이 잡힌 한국가스공사(성남→대구)를 비롯해 한국토지주택공사(성남→경남), 한국도로공사(성남→경북) 등 정부 산하기관 29개 가운데 19개 기관의 매각이 완료되지 않았다. 부지와 건물만 남고 사람이 사라진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과천 청사와 같은 상권 공동화 현상은 당분간 이들 기관 일대에서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공동화 현상은 상권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부지 이전과 입주의 시간차로 발생하는 공동화 현상은 자칫 우범지역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 수원 서둔동 서울대 농생대(15만2천㎡)가 관악캠퍼스로 이전하고 2012년 관리권이 경기도로 이양되기 전까지 10대 청소년들의 탈선 장소로 유명세를 타는 등 수원지역의 대표적인 우범지대로 전락했던 전례가 있기 때문이다.
또 수원 세류동 일대 역시 지난 2007년 주거환경개선사업 지역으로 선정돼 주민들은 이주했지만 보상이 순조롭지 않아 개발이 지연되면서 생긴 공동화 현상으로 노숙자와 부랑자들의 본거지가 되는 등 부작용을 낳기도 했다.
이 때문에 농진청을 비롯한 공공기관의 부지와 건물들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발빠른 대책 마련과 지속적인 관리가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서둔동에 사는 주민 서모씨(35ㆍ여)는 “서울대가 이전하고 수년간 방치되면서 밤에 그 일대를 지나 다니기 조차 무서웠다”며 “부지가 더 넓은 농진청과 소속기관이 떠난 뒤에 개발과 타 기관의 입주가 늦어지면 (서울대와)같은 상황이 반복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그동안 부동산 경기 침체로 공공기관 매각에 어려움을 겪은 것은 사실”이라며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을 내놓는 등 정부가 나서고 있는 만큼 지자체와 협의해 빠른 시일내에 (이전하는 공공기관 부지 등을)지역특성에 맞게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규태기자
< 저작권자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