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정치 사회의 칸 ==../-수원특례시장 外(기초단체장 선거 시장 군수 구청장 선거

[사설]퇴직공직자라도 처신 신중해야

 

[사설]퇴직공직자라도 처신 신중해야
경기신문  |  webmaster@kgnews.co.kr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신고하기
승인 2014.03.13    전자신문  21면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네이버 구글 msn
6·4 지방선거가 80여일 앞으로 다가왔다. 하여 시중의 화제는 단연 ‘우리 지역에서 누가 출마하며, 누가 우세한가’라는 내용이다. 또 있다. ‘그 후보의 캠프에 요즘 누가 기웃거린다더라’ 하는 소문도 귀를 쫑긋거리게 만든다. 일반인들에게도 그렇지만 특히 고위직 공직자들의 줄서기는 공직사회에서 최고의 화젯거리다. 이번 지방선거 출마 후보자들의 선거캠프에 고위직 공무원 퇴직자들의 모습이 자주 보인다고 한다. 전직 구청장과 지자체 산하기관장을 역임한 사람들이 시장·군수 예비후보들의 선거캠프에서 핵심 역할을 맡고 있어 눈총을 사고 있다고 한다.

본보(13일자 1면)에 의하면 수원시의 경우 김용서 전 시장 선거캠프에는 현 염태영 시장 취임 이후 구청장으로 영전해 퇴직하고 시 산하기관장에 재직하다 퇴직한 A씨가 사무국장으로 선거운동 전반을 지휘하고 있다고 한다. 역시 구청장과 산하기관장을 역임한 B씨도 김용남 후보의 선거캠프에 합류해 중요 업무를 맡고 있단다. 용인시장 예비후보자들의 선거캠프의 경우는 더하다. 최승대 전 부시장 선거캠프에는 구청장 출신 퇴직 공무원만 3명이나 참여했다. 김기선 전 도의원 캠프에도 전직 구청장 등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러니 6·4 지방선거 단체장 선거캠프가 ‘퇴직 공직자들의 사랑방’이라는 비아냥도 나온다. 물론 이들은 현직에서 퇴직을 했기 때문에 공직선거법에 저촉되지 않는다. 민간인의 신분이기 때문에 자유롭게 선거운동을 할 수 있고 직접 단체장이나 의원직 출마도 가능하다. 그런데 여기에서 도덕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현재 재직 중인 단체장이 낙점해 구청장으로 영전하거나 산하기관장으로 취임하는 혜택을 받았는데도 경쟁관계에 있는 후보의 선거캠프에서 핵심 역할을 맡는 것은 주민들은 물론 공직 후배들에게 좋은 모습으로 비춰지지 않는다.

이들은 구청장 등 고위직을 역임하면서 많은 주민들과 접촉했기 때문에 지역주민들에게 지명도가 있고 신뢰감도 있다. 영향력을 끼치고 여론 형성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후보자들이 선거캠프를 꾸리면서 선거에 도움이 되는 퇴직 공직자들을 영입하려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이들이 전면에 나서면서 현직에 있는 후배 공직자들의 입장이 난감할 수밖에 없다. 같은 공직인 교사의 경우 퇴직을 해도 영원한 선생님이다. 그렇듯이 공무원들도 퇴직한 후에도 후배와 주민들에게 신뢰받는 명예로운 공직자로 영원히 남았으면 한다.<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