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의 4·11총선 공천헌금 파문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오히려 더 커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당내에서 제기되고 있다.
사건의 당사자인 현기환 전 의원과 현영희 의원의 강력한 부인에도 불구하고 공천헌금이 오갔을 정황이 하나둘씩 새롭게 제기되면서 새누리당이 벼랑 끝으로 몰리는 형국이다.
새누리당이 제명이라는 강경책을 내놓긴 했지만 당의 쇄신 이미지는 이미 타격을 받은 상태다.
검찰 수사 결과에 따라 당은 다시 한번 크게 휘청거릴 가능성도배제할 수 없다.
현영희 의원의 과거 수행비서였던 정동근씨가 3월 15일 ‘중간전달책’ 조기문씨를 통해 현 전 의원에게 3억원을 전달했다고 검찰에서 진술했으나 7일 현재 현 전 의원은 조씨를 접촉한 적이 없다고 부인하는 상태다.
하지만 현 전 의원과 조씨의 휴대전화가 ‘3억원 전달’ 당일 같은 기지국 내에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이번 사건은 진실게임 양상으로 번지는 상황이다.
현 전 의원은 “당일 밤늦게까지 여의도 당사 주변에 있었다”고 반박했고, 이 사건을 수사하는 부산지검의 한 관계자도 “(기지국 이야기는) 처음 듣는 소리”라고 일축했다.
‘기지국 공방’은 당 지도부의 사전인지 논란으로도 번졌다. 당 지도부가 지난 3일 최고위 회의에서 이 사실을 보고받은 것 아니냐는 것이다.
한 최고위원은 “‘조씨를 만났다면 같은 기지국에 있지 않았겠느냐’는 질문이 나오자 현 전 의원이 ‘기지국 반경이 넓기에 만났다는 증거가 되지 않는다’고 답변한 게 와전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새누리당 당직자들은 “검찰 수사 결과를 지켜보자”는 원론적인 입장을 되풀이하면서도 우려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무엇보다 현 전 의원이 친박 핵심 인사였다는 점에서 이번 의혹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박 전 위원장은 적지 않은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단 친박계는 이번 공천헌금 파문에 대해 설령 사실로 확인된다고 하더라도 이는 어디까지나 개인비리라고 선을 그으면서 ‘박근혜 대선가도’에 미칠 악영향을 차단하는 데 절치부심하는 모습이다.
친박 핵심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역대로 이번 4·11총선 공천만큼 깨끗한 공천이 있었느냐”면서 “이번 사건이 옥의 티가 될 수도 있는 상황인데 만의 하나 사실도 드러나더라도 개인비리 차원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당 일각에선 추가 공천비리 의혹이 나오지 않을까 걱정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실제 현재 지역 정가에선 현영희 의원이 부산지역 중진인 A의원에게 거액의 금품을 건넸다는 소문이 나오고 있다.
현 의원이 두 차례 부산시의원을 지냈고 박 전 위원장 지지모임인 ‘포럼부산비전’ 공동대표를 맡는 등 지역정가에서 ‘마당발’로 통했던 만큼 또 다른 시한폭탄이 터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