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헌금’ 파문>권영세·현기환이 공천 주도… ‘힘’ 있는 데 ‘돈’ 몰렸나
힘이 있는 곳에 돈이 몰렸나. 공천헌금 사태를 계기로 새누리당의 제19대 총선 공천의 역학구도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총선 당시 새누리당 공천위원회는 외부 인사를 영입했지만, 실제 공천 과정에서는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의 신임을 받은 친박(친박근혜)계가 주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때문에 소수의 친박계 인사들에게 과도한 힘이 실리면서 공천 부정의 불씨가 잉태된 게 아닌가 하는 의혹을 받고 있다. 새누리당 공천위원회는 모두 11명이 선임됐으나 진영아 패트롤맘 회장이 학력 문제 등으로 사퇴해 10명으로 구성됐다. 외부위원이 7명으로 대다수를 이뤘지만 당 사정을 잘 몰라 친박계 내부인사 3명이 사실상 공천을 주도했다는 것이 정설이다. 공천위는 외부인사인 정홍원 전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장이 위원장을 맡고 정종섭 서울대 법대 학장이 부위원장, 한영실 숙명여대 총장, 박승오 KAIST 교수, 홍사종 미래상상연구소 대표, 박명성 신시뮤지컬컴퍼니 대표, 서병문 중소기업중앙회 수석부회장 등이 영입됐다. 당 인사로는 권영세 전 사무총장과 현기환·이애주 전 의원이 참여했다. 권 전 총장과 현·이 전 의원이 모두 친박계였다. 특히 권 전 총장과 현 전 의원은 전략지역 소위원회를 구성해 공천을 주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소위원회는 민감한 공천을 주로 논의했다. 현 전 의원이 현영희 비례대표 의원에게 공천헌금 3억 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수사 선상에 오른 것도 이 같은 그의 역할 때문이다. 당시 공천위는 선거구별로 공천 신청자들을 집단면접해 1차 심사를 했다. 1차 심사는 공통질문으로 ‘왜 국회의원에 나가려 하느냐’는 등의 아주 일반적인 질문만 했다는 것이다. 공천위원들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정해질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는 것이다. 서울지역에서 공천을 신청했던 한 인사는 “1차 면접 시간이 1인당 5분도 안 되는 데다 너무나 일반적인 질문이어서 차별화를 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없다는 생각을 했다”며 “차별화가 안 된다면 공천위원들과의 친분 등으로 정해졌다고 볼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특히 외부 공천위원들은 공천신청자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어 친박 공천인사의 의견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공천위에 참여했던 한 외부 공천위원은 “사실 공천을 신청한 사람들의 면면을 우리가 알 수 없었다”며 “면접에서 뚜렷하게 문제가 나타난 사람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당 출신 공천위원들의 의견을 존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당시에도 여러 가지 잡음들이 당 주변에 돌기도 했다. 현 전 의원은 친박을 대표해 부산지역의 공천 과정에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18대 총선 당시 친이(친이명박)계 위주의 공천을 주도한 정종복 전 사무부총장에 빗대 ‘현종복’으로 불리기도 했다. 영남권 공천은 현 전 의원과 함께 공천위 밖의 친박계 핵심인사가 조율을 했다는 소문도 있다. 이 같은 잡음 때문에 공천 당시에도 많은 비판이 제기됐었다. 당시 정몽준 전 대표는 “단순히 당권을 공고히하기 위한 공천이라면 역사에 죄를 짓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신선종 기자 hanuli@munhwa.com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
'◐ 정치 사회의 칸 ==.. > -국민의힘( 대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 파일]새누리 신임 黨대변인에 홍일표 의원 (0) | 2012.08.07 |
---|---|
새누리당, 오늘 예정대로 정책토크 진행 (0) | 2012.08.05 |
친박 공천 돈거래 사실땐 박근혜 대선 행보에 대형 악재/홍준표, 종편 토크쇼 진행하려다 돌연 (0) | 2012.08.03 |
[파워 인터뷰] 안상수 전 한나라당 대표 2012.07.31 14:59 (0) | 2012.08.01 |
박근혜에 “결혼·출산·보육 경험없다” 지적했더니 (0) | 2012.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