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수원특례시의 종합/⋁❶前 수원특례시장(염태영)_활동.비전.어록.영상.보도.논객.자료.

[데스크칼럼]염태영을 지켜라

[데스크칼럼]염태영을 지켜라

경기신문  |  webmaster@kgnews.co.kr

승인 2013.02.08    전자신문  28면
   
▲ 사회부장 최영재

난 수원에 산다. 인구 115만의 전국 최대 기초지자체인 수원시는 내 고향이다. 40년을 넘게 살아온 고향은 말 그대로 격세지감을 느끼게 하지만 아직도 변함없이 수도권의 한 변방이다. 경기도의 도청 소재지라고는 하지만 말 그대로 서울에 치이면서 인천의 상전벽해를 지켜본 사람들에게 수원은 차별의 산물 그 자체다.

대부분의 수원시민들이 그렇듯이 1997년 울산광역시의 탄생과 맞물려 수원도 광역시가 될 거란 기대는 정치논리에 사그라졌지만, 그래도 한줄기 희망의 빛은 남아 있었다. 그러나 이후 15년 넘게 흐른 지금 수원의 공무원 1인당 주민수는 428명으로 213명인 울산의 배가 넘는다. 당연히 등본 한 장 떼기 위해 관공서에 가도 눈치 보며 줄서서 기다려야 하고, 민원에 대한 대답이 늦어도 일에 치이는 공무원들이 차마 안쓰러워 그냥 묵묵부답으로 참는 게 다반사다.

그래도 수원사람들은 참 양반이다. 한번쯤 떼도 쓰고 이렇게 해 달라 할만도 한데 순진하게 또 ‘인센티브’라는 말에 수원·오산·화성 통합에 기대를 걸었다가 정치적 이기심과 결과만 통보받은 여론조사결과에 통합이 물 건너가도 또다시 꾹 참는다. 그리고 중앙정부도 서로 밀며 손 놓고 있는 인구 100만 이상의 도시모델로 ‘수원형 모델’이란 준광역급 행정모델을 직접 만들어 세상에 내놓기까지 했다.

매년 재정보전금 수천억원을 못 받는 것도 억울하고, 인구 100만이 넘으면 당연히 될 줄 알았던 광역시가 안 된 것도 서러운데 그렇게 해서라도 수원시민들을 위한 ‘수원시 만들기’와 ‘행정서비스 개선’ 등은 반드시 해야겠다는 것이었겠지만, 그러나 이를 어쩌랴. 정권교체기를 맞아 차일피일 미루는 중앙 공무원들에 개점휴업상태인 국회마저 더해져 또다시 표류중이다.

해도 너무 한다는 말은 바로 이럴 때를 위한 것인지도 모른다. 유치원전쟁에 학교폭력, 청년실업, 주택공포, 살인물가, 묻지마살인, 북핵 위기 그리고 차마 입에 담기도 거북한 등등등. 새로움에 거는 기대가 너무 커서일까. 그 기대들이 ‘알몸말춤’을 현실로 만들며 투표장으로 사람들을 불러 모은 끝자락이 출범을 눈앞에 둔 ‘박근혜 정부’의 시작이 되었다.

힘들다는 아우성들로 가득 찬 세상은 참 많은 말을 봇물처럼 쏟아냈다. 물론 얼마 안 돼 더 큰 아쉬움으로 되돌아온 숱한 경험들이 그러지 말라고 하지만 기대라도 없으면 또 얼마나 팍팍한가. 저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어떻게든 줄을 대려고 안간힘을 쓰고, 살아남기 위한 바둥거림은 중앙과 지방, 개인과 단체는 말할 것도 없는 데다 ‘지방자치 부활 20년’을 넘어선 ‘분권’의 ‘법제화’ 요구는 처절하기까지 했다.

변함없이 혹시나는 곧 다시 역시나로 바뀌었고, 늘 그랬다는 것처럼 평범한 일상의 제 갈 길을 가기 시작했다.

택시가 멈춰 설까 걱정해야 했고, 콩나물버스에 출퇴근을 맡기며 시도 때도 없이 몰아치는 눈폭탄에 속절없이 무너졌다. 수원시도 준광역급 ‘수원형 모델’에 대한 기대를 잠시 접고, 선심 쓰듯 3급 자리 하나 내준 중앙정부의 생색내기에 가슴앓이 한 인사는 개봉박두다.

그러나 위기는 곧 기회라는 것을 우리는 안다. 아무리 부정하고 외면해도 ‘자치’와 ‘분권’을 통한 다양한 ‘참여’와 ‘소통’이란 거스를 수 없는 절체절명의 요구가 머지않아 현실이 될 것임을 의심하지 않는다.

다시 문제는 ‘염태영’이다. 자치와 분권의 시대에 ‘염태영’은 단지 장막 뒤에 숨은 측근들과 눈 가리고 귀 막는 일부 공직자들만의 시장이 아니다. 그들의 비겁한 꼼수와 철딱서니 없는 무책임은 반드시 세상에 드러나는 게 이치다.

‘염태영’은 이미 좋든 싫든 115만 수원에 이어 또다시 역차별 쓰나미를 맞게 될 고양, 성남, 용인, 부천 등 경기도 역차별 돌파의 조타수다. 그리고 그 ‘염태영’에게 ‘수원형 모델’과 수원발전의 오래된 꿈들이 고스란히 달렸다.

불과 며칠 전 열린 ‘좋은시정위원회’에서 나온 “소통을 위한 위원회에서조차 소통이 되지 않고 있다는 얘기들이 주를 이룬다”는 모 위원의 자조 섞인 얘기는 흘려듣기엔 치명적이다. ‘염태영 지키기’는 그래서 더 이상 미룰 시간이 없다. 115만 시민이 다시 나서야 할 때다. 염태영에 김문수, 나아가 박근혜를 위해서라도 이제는 국민 한 명 한 명이 측근이 되어야 할 때다. 지금이라도.

<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경기신문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