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정원내 세종대왕 초장지 발굴

국정원내 세종대왕 초장지 발굴
국정원내 세종대왕 초장지 발굴
첫 조선왕릉 발굴.."사신도 발견 가능성 높아"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현재와 가장 가깝기 때문에 가장 많이 알고 있을 것 같은 조선 왕릉. 하지만 어느 누구도 그 정확한 구조를 알지 못한다. 현재까지 조선 왕릉, 혹은 그에 준하는 왕비릉 중에서 발굴조사가 이뤄진 곳이 단 한 곳도 없기 때문이다.
이런 조선 왕릉에 대해 사상 최초로 발굴이 시작됐다. 대상지는 국가정보원 내 세종대왕 초장지(初葬地). 초장지란 처음에 묻힌 곳이란 뜻으로, 세종은 그의 비 소헌왕후와 함께 지금의 국정원 경내 영릉이란 곳에 묻혔다가 터가 좋지 않다 해서 예종 원년(1469) 3월에 현재의 경기 여주군 능서면 영릉으로 천장(遷葬.무덤을 옮기는 일)됐다.
문화재청 김상구 건축문화재과장은 한국문화재보호재단에 의뢰해 이 초장지에 대한 발굴조사를 10일 개시했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예산 7천만원을 들여 2월말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김 과장은 "조사성과에 따라 발굴이 확대될 수 있다"면서 "사상 최초의 조선왕릉 발굴이란 점에서 문화재청에서 매우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정원 내 초장지는 그 유해가 옮겨졌기 때문에 더 이상 조선왕릉이 아니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천장 당시에 완전히 파괴된 것이 아니라 유해를 수습하는데 그치고 그 외 신도비를 비롯한 다양한 무덤 장식 석물(石物) 30여 점은 1973-74년 세종대왕기념사업회가 수습해 갈 때까지 그대로 현장에 남아있었다.
이 초장지에 대한 발굴조사는 전격적으로 결정됐다.
문화재청은 지난달 21일 옛 영릉터를 보존 관리하고 정비하기 위한 협약을 국정원과 체결했다. 이 협약에 의해 국정원은 세종 초장지 능침 조성에 필요한 토지를 무상으로 문화재청에 제공하고, 그 관리 주체는 문화재청으로 하되 일상적인 관리는 국정원이 맡기로 했다.
협약서 체결 이후 정비작업을 위해 초장지 일부 표토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강회 다짐이 출현하고, 그 밑에서는 두터운 숯층을 확인함에 따라 작업을 중단했다. 석실이 남아있음이 확인된 것이다.
문화재청은 유해는 여주로 옮겨졌지만 그 외 왕릉 구조물이나 유물은 그대로 남아있을 있을 공산이 크다고 판단하고 발굴을 결정했다.
유홍준 문화재청장은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세종의 현실 네 벽면에는 청룡, 백호, 현무, 주작의 사신도를 각각 그려넣었다는 기록이 있다"면서 "이런 사신도가 발견될 가능성도 내치지 못한다"고 말했다.
http://blog.yonhapnews.co.kr/ts1406
taeshik@yna.co.kr
(끝)

<저작권자(c)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