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깔없는 지역축제 우후죽순 |
[경기일보 2009-10-7] |
지방자치제도 도입 이후 경기도내 지역축제가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으나 상당수가 지역특색이 없는 먹거리 장터 등으로 전락하는 등 선심성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행정안전부가 국회 행정안전위 김태원 의원(한·고양 덕양 을)에게 제출한 ‘2009년 지역축제 현황 및 예산’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내 축제는 올 현재 115개로 책정된 예산이 514억3천500만원에 달한다. 또 이중 84.4%인 97개의 축제가 민선 지방자치 실시 이후에 신설된 것으로 조사됐다. 지방자치단체들이 축제에 투입하는 예산을 보면 경기도가 514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광주시 422억원, 서울시 400억원, 경남 359억원 등 모두 3천275억원으로 집계됐고, 민간단체에 경상보조하는 예산까지 포함되면 두 배가 넘을 것으로 보인다. 도내 축제 예산을 보면 부천시가 134억8천200만원으로 전체 26.2%를 차지했으며, 고양이 99억원(19.2%), 이천 21억4천500만원, 수원 20억9천만원, 구리 18억7천500만원, 파주가 14억9천300만원, 안산 14억8천만원, 가평군이 14억2천만원, 용인은 13억5천만원, 광주가 12억8천500만원, 안성 12억3천600만원 등이다. 반면 동두천은 2억1천만원을 지역축제 예산으로 지원해 도내에서 가장 적었고, 시흥은 3억원, 김포 3억5천만원, 의왕 3억9천만원, 성남 4억6천만원, 양평은 5억원을 사용했고, 하남은 6억2천600만원 등의 순이었다. 지역별로 보면 파주시는 9번 지역축제가 있고, 용인시와 양평군은 각각 7번, 성남·포천은 6번, 부천·안양·화성·광명·김포가 5번의 문화예술 축제를 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축제가 지방자치제도 도입 이후 만들어지면서 지역 특색보다는 연예인 초청공연을 비롯 먹거리 장터 등으로 이뤄져 선심성 성격이 강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김 의원은 “지자체들이 경쟁적으로 축제 개최에 나서면서 지방재정의 건전성까지 해칠 수 있다”며 “정부가 엄격한 평가를 통해 지역축제를 축소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hikang@kgib.co.kr |
카테고리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