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만달러 수수 의혹을 받고 있는 한명숙 전 국무총리가 18일 검찰에 체포돼 치열한 실체 규명 공방에 들어갔다. 9일간 세 차례 검찰의 출두 요구 거부 끝에 전직 국무총리로서는 처음으로 검찰에 체포된 것이다. 실체적 진실이 어찌됐든 헌정 사상 첫 여성총리가 체포된 현실은 안타깝기 짝이 없는 일이다. 이제 혐의를 입증하겠다는 검찰과 완강히 부인하는 한 전 총리의 밀고당기기가 시작됐을 뿐이다. 이 소동을 보며 국민들은 무엇보다 한명숙 금품수수 실체에 대해 궁금해한다.
야권의 유력한 서울시장선거 후보인 한 전 총리는 그동안 ‘정치 검찰’의 피의사실 사전공표라는 이유로 국가 공권력의 상징인 검찰과 대치해 왔다. 그가 법원이 체포영장을 발부한 뒤에도 검찰 출석요구에 응하지 않은 것은 유감스럽다. 한 전 총리는 자신의 혐의를 완강히 부인하면서 검찰 수사진에 의해 체포됐다. 그가 검찰에 끌려가는 모습을 국민들은 복잡한 심경으로 지켜보았다. 민주당 상임고문인 한 전 총리가 탄압받는 야당정치인의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면 이미 충분히 달성됐다고 할 수 있다.
이제 검찰과 한 전 총리는 국민에게 실체적 진실을 알려주어야 할 무거운 의무가 있다. 검찰은 투명한 수사를 통해 정치검찰이라는 오명을 벗어야 할 것이다. 한 전 총리도 전 국가 2인자로서 검찰 수사에 적극 응하는 게 도리다. 혐의가 잘못됐으면 부인하면 된다. 지도층 인사로서 묵비권을 행사하는 것은 재고해봐야 한다.
국민 앞에 떳떳하다면 묵비권을 행사하는 게 오히려 의혹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것 아닌가. 한 전 총리는 검찰 수사에 당당하게 응해 진실을 가려주기 바란다. 그것이 전직 총리로서 국민에 대한 도리를 다하는 길임을 명심해야 한다. 결백하다면 법원에서 무죄를 입증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