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울대학교, 차세대융합기술원 운영 `먹튀` 논란

서울대학교, 차세대융합기술원 운영 '먹튀' 논란
道 지원금 90% 인건비.운영비로..연구비는 고작 '3억8천만원'
데스크승인 2011.09.14 김만구 | prime@joongboo.com

5년동안 100억원이 넘는 예산을 직·간접적으로 지원받고도 파주캠퍼스를 일방적으로 포기한 이화여자대학교에 이어 서울대학교도 ‘먹튀’ 논란에 휩싸일 전망이다.
경기지역의 기업과 학생 등을 도와주는 조건으로 경기도로부터 매년 35억원씩 지원받고 있는 예산을 엉뚱한 곳에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기도와 서울대는 2007년 3월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연구원) 건립·운영 경기도와 서울대간 운영협약서’를 체결했다.
협약서에는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에 새로 지은 차세대융합기술원의 운영을 서울대가 맡아 경기도 소재 대학, 연구소, 기업등과 공동협력 사업 등을 벌이는 조건으로 경기도는 매년 35억원씩 7년동안 245억원을 지원해주는 내용이 담겨있다.
경기도는 이 협약에 따라 올해까지 3년째 105억원을 지원해줬다. 하지만 서울대는 이 예산 거의 대부분을 건물유지비, 인건비 등에 사용하고 있다.
▶서울대 어떤 약속했나?=운영 협약서에는 경기도가 35억원을 지원해 주는 대신 서울대가 연구원을 통해 경기도 내 대학·연구소·기업등과의 공동연구·협락사업 추진 및 기술이전, 시설장비 인프라등을 우선지원토록 명시했다. 또 도내 대학생을 위한 인턴프로그램, 도내 대학과의 협력프로그램, 기업 맞춤인력양성프로그램도 개발·운영토록했다. 이를 위해 도와 연구원이 운영발전위원회를 구성하고 운영위는 매년 2회이상 회의를 열어 35억원의 예산을 위원회가 심의해 도내 대학, 연구소, 기업등과의 상화 연구개발, 기술교류 및 인력 양성등 산학연의 연계 강화를 지원토록했다. 하지만 경기도와 연구원은 3년동안 운영위를 구성하지 않았다. 결국 35억원은 인건비와 건물유지비등에 주로 사용됐고 연구원과 도내 기업·연구소등과 공동연구등은 전혀 진행되지 않았다.
▶서울대 3년동안 뭐 했나?=운영위원회 자체가 없었기 때문에 약속이행도 제대로 되지 않았다. 연구원이 한 것은 고작 대학생 인턴프로그램 정도였다. 이마저도 6회에 걸쳐 회당 도내 대학생 7~9명만이 참여했다.
도내 기업이 참여하는 맞춤인력양성프로그램등 협약에 대해서도 서울대는 약속을 지키는 시늉만 했다. 기업맞춤인력양성프로그램은 사실상 운영되지 않었고 다만 2009년 한차례 기업직장인 대상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됐다. 그해 공공기관 강연도 열렸는데 3일간 강연에 22명정도가 참여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1천500억원의 댓가치곤 실적이 너무 저조하다”고 말했다.
▶올 예산 35억원 엉뚱한 곳에 사용=경기도가 융기원에 준 돈 35억원은 90%가 인건비 혹은 시설운영비로 사용됐다.
건물관리용역비가 연 10억원이 들어갔으며 행정직원인건비, 연구인력 인건비 등에 8억1천200만원이 쓰였다. 우수사원포상금 450만원, 직원경조사비 960만원, 회식비 370만원등 복리후생비에도 3천만원이 사용됐다.
공공요금은 2억9천만원, 세금에 2억6천400만원, 연구교수실 사무용가구등 구입비에 5억원이 들어갔고 기술정보 활동비로 5천만원이 쓰였다.
35억원 중 그나마 산·학·연 공동사업으로 판단되는 학술대회개최비등 연구와 관련된 비용은 3억8천800만원에 불과했다.
이에 대해 융기원 관계자는 “융기원 개원이 3년밖에 되지 않았고 융기원은 순수연구기관이어 (협약서상에 명시된)기업지원등을 목적으로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밝혔다.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은=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은 경기도가 2008년 3월 1천440억원을 들여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에 부지 10만2천294㎡에 연면적 5만9천995㎡의 규모로 지어 서울대학교에 위탁했다. 연구 원내에는 나노융합·바이오융합·IT융합·그린스마트시스템·범학문통합·함께사는기술 연구소등 6개 연구소와 연구개발본부, 경영관리본부가 있다.
상근직인 연구원 원장은 8월 17일부터 안철수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겸임하고 있다.

김만구기자/prime@joongbo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