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어르신솜씨발굴프로그램, 국제레지던시프로그램 오픈-대안공간 눈

어르신솜씨발굴프로그램, 국제레지던시프로그램 오픈-대안공간 눈

*****************( 제목 또는 내용 분리 )*****************

대안공간 눈입니다.

수원시 행궁동 내 7개 경로당 어르신들과 각 경로당에 매칭된 작가팀

총 21명의 작가와 함께 3개월간 펼쳐진 어르신들의 솜씨자랑이 막을 엽니다.

연륜이 배어있는 어르신 솜씨와 작가들의 정성이 깃든 소품들을 감상하시면서

10월을 북수동 벽화 골목길에서 흥겹게 시작하시는 것은 어떨런지요

또한 국제레지던시 프로그램 (골목길GMD-행궁동을 걷다)국내외 작가 18명이

행궁동에 와서 구석구석을 걸으며 만나고 느낀 것을 행궁동레지던시 전시장, 거리,

골목, 빈 집, 담장등에서 독특한 기법으로 펼쳐 보입니다.

어르신 솜씨 발굴 프로그램 / 주민솜씨전

일시 ; 2011, 9, 27, 화 - 10, 6, 목

장소 ; 대안공간 눈 1, 2 전시실

오픈리셉션 및 잔치, 시상식; 2011, 10, 1, 토 오후5시

어르신 솜씨 발굴 프로그램 작품전 자세히 보기

국제레지던시 프로그램 (골목길 GMD - 행궁동을 걷다) 전시개막

일시 ; 2011, 10, 1, 토 - 10, 10,월

장소 ; 행궁동 레지던시 1층 전시실(신풍초교 앞), 대안공간눈, 북수동 벽화골목, 빈 집, 거리 등

개막퍼포먼스; 2011, 10, 1, 토, 오후 3시, 행궁동레지던시~행궁앞

국제레지던시프로그램(골목길 GMD - 행궁동을 걷다) 자세히

*****************( 제목 또는 내용 분리 )*****************

어르신 솜씨 발굴 프로그램 / 주민솜씨전

이웃과 공감하는 예술프로젝트 행궁동 사람들 2011
어르신 솜씨 발굴 프로그램
행궁동 사람들의 솜씨전

일시 ; 2011, 9, 27, 화 - 10, 6, 목
장소 ; 대안공간 눈 1, 2 전시실
오픈 및 만남; 2011, 10, 1, 토 오후 5시
오픈 공연 및 난장 ; 김순애의 시조창, 열매의 오카리나연주

후원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수원시, 수원시 마을기업 행궁솜씨

기획의 글

세상에 사는 모든 사람들은 그들만의 이야기가 있다. 특히 어르신들에게는 단순한 이야기를 뛰어 넘은 더많은, 더 깊은 세월의향기가 묻어있다, 우리는 - 시간속에 더 빛나는 사람들- 어르신 솜씨발굴프로그램을 통해 어르신들에게 숨겨진, 당신 스스로도 미처 깨닫지 못한, 그래서 차마 펼쳐보지도 못한 그들만의 이야기를 듣고 싶다. 그것이 그림이든, 판화든, 소리든, 공예든 형태가 무엇인지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 다만 숨겨진 어르신들의 작은 이야기하나라도 함께 공유하고 함께 즐길수 있는 기회의 장을 만들고자 한다. 어쩌면 그들은 우리들에게는 <수원화성> 못지않은 세계문화유산인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북수동 경로당 어르신들의 솜씨


남향동 경로당 어르신 솜씨


팔창동 경로당 어르신 솜씨


신안동 경로당 어르신 솜씨


신풍동 경로당 어르신 솜씨


영동 경로당 예쁘게 꾸미기

작가와 어르신경로당 매치

북수동 사랑의 쉼터 ; 윤 희경(천연염색), 조성희(염색,바느질), 장용수(조각)
신풍동 경로당 ; 전우진(목공예), 윤경숙(서예), 심현아(서양화)
장안동 경로당 ; 한애숙(서양화), 최세경(서양화), 서동영
남향동 경로당 ; 이강미(서양화), 조성희(사회복지사), 안인숙(요양보호사)
팔창동 경로당 ; 손종현(조각), 박정신(판화), 박정현(도예)
영동 경로당 ; 전혜정(산업디자인), 최미아(판화), 문승진
신안동 경로당 ; 김은영(서양화), 최경자(서양화), 이호정(서양화)

본 전시는 대안공간 눈에서 기획하였으며,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수원시, 수원시 마을기업 행궁솜씨에서 후원하였습니다.
전시는 오후 1시부터 오후 8시까지 관람할 수 있으며
월요일은 휴관입니다. 관람료는 없습니다.

문의 ; 대안공간 눈(031-244-4519 / 010-4710-4519)
442-180 수원시 팔달구 북수동 232-3 3/2
www.galleryartnet.com
메일 ; spacenoon@hanmail.net

*******( 제목 또는 내용 분리 )*******

국제레지던시 프로그램 (골목길 GMD - 행궁동을 걷다) 전시개막

2011 국제 레지던시 프로그램

『골목길 GMD-행궁동을 걷다』

카페 ; http://cafe.daum.net/GMDresidency

1. 사업 취지

수원시 팔달구 소재 행궁동은 현재 인구 약 14,600명으로, 화성이라는 문화유산 보호와 복원 정책으로 개발이 제한되어 주거형태는 70~80년대에 머물러 있어 상당히 낙후되었지만 반면 그로 인해 근대 이후 사람들의 유 무형의 삶의 모습이 보존되어 있다.

현재 행궁동 철거예정 건물에서 활동하고 있는 행궁동 레지던시 입주작가들과 슈룹에서 추진하고 있는 아시아 작가, 다양한 작업을 활발하게 국제무대에서 펼치고 있는 국내외 작가들을 행궁동에서 만나게 하여 서로 교류 활동을 통해 창작의욕을 고취시키고, 현지 주민들과의 적극적인 만남과 소통을 통해 지역문화를 활성화 시키면서 행궁동을 예술마을로 만들기 위한 노력과 그 가치를 끌어내 보고자 한다.


2. 사업개요

가. 사업명 : 2011 국제 레지던시 프로그램 『골목길GMD-행궁동을 걷다』

나. 레지던시 기간 : 2011년 9월 15일~9월 30일

다. 행사 개막 : 2011년 10월 1일

라. 레지던시 장소 : 수원시 화성을 중심으로 한 행궁동 일대

마. 전시 : 2011. 10,1(토)~10,14(금)

(행궁동 골목길 현장 + 행궁동 레지던시 전시장)

바. 워크샵 : 2011년 9월 17일(토) 오후3시~ 행궁동 레지던시 1층 전시실

사. 참여작가 : 국내외작가 17인(국내10인, 국외7인)

국내 : 강제욱, 김남수, 김성배, 박근용, 신용구, 안성석, 왕희정, 이윤숙,최혜정, 백정기(10인)

국외 : Ashmina Ranjit(네팔), Saurganga Darshandhari(네팔), Chung Yung-Chang(독일),
Pat Kramer(독일), Edgar David Argaez(멕시코), Eric Scottnelson(미국),
Mrat Lunn Htwann(미얀마)(7인)

참여작가 숙소 - 수원시 팔달구 행궁동 소재 사랑채 (9. 15 ~10. 1)

자. 주최 및 기획 : 대안공간 눈, 슈룹

차. 협력 : 행궁동레지던시, 경기창작센터, 행궁동주민자치위원회,행궁길발전위원회.

행궁동새마을부녀회, 신안지구발전협의회, 남향동발전위원회, 화성사업소,

수원박물관/화성박물관, 행궁동, 팔달구, 마을기업 행궁솜씨, KYC, 나혜석기념사업회

카. 후원 : 경인일보, 경기일보

타. 행사진행구성

- 총감독 ; 이윤숙 (조각가, 대안공간 눈 대표, 행궁동 레지던시 총감독)

- 기획총괄 : 김이선(큐레이터, 오름조형연구소 대표)

- 진행총괄 : 김성배(슈룹 대표), 김정집(대안공간 눈 관장)

- 코디네이터 : 홍재주(대안공간 눈 기획위원)

- 워크샵 진행 및 평론 김종길(경기도미술관, 미술평론)

- 진행보조 : 송주희, 이문숙, 이운숙, 김 솔, 틸먼크릭, 현미듀런, 전혜정,

서정화, 박민애, 아주대자원봉사팀, 행궁동레지던시입주작가 일부

- 출판 ; 페이퍼(최서영)

3. 사업 세부 내용

1. 행궁동 탐사 ; 참여작가는 레지던시 기간 동안 개별적 혹은 작가들과 함께 세계문화유산 화성을 탐사하며 그 안에 사는 행궁동사람들과 소통, 교류하며 작가 개개인의 탐사기록을 작성해 나간다.

- 개별 탐사 및 기록 : 각 장르별 기록(평면 혹은 입체 설치작업, 사진, 영상계획), 스케치, 인터뷰 등 작가별 탐사 후 개별 작업을 진행 한다.

-창작 공간 ; 행궁동 레지던시 건물, 빈 공간, 골목담장, 실험공간 UZ

- 창작 작업 : 작가 간 혹은 주민과 작가의 공동 협업, 혹은 개별 작업

2. 워크샵 : 탐사와 기록내용을 모아보고 작가별 작품진행 프리젠테이션

(작가와 작가, 주민과 작가 간 소통과 교류)

3. 작품설치 : 탐사기간 중 소통되고 구상되어진 창작 아이디어를 행궁동 의 적절한 장소에 구성, 설치한다.(대안공간 눈/행궁솜씨 윈도우갤러리, 행궁동 레지던시 1층 전시실, 골목길 담장, 빈 공간, 행궁광장, 수원천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