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싣는 순서> 1 대중일보와 인천언론의 시작 2 강요된 '언론공백' 3 1988년 민주화와 지역언론의 부활 <끝>
|  | | ▲ 1973년 언론통폐합 뒤 15년 간 신문이 없었던 인천시민들의 열망을 모아 1988년 7월15일 창간한 인천신문(현 인천일보) 창간호. 톱기사는'송도앞바다에 해상도시'이고 왼쪽 상자기사로 문병하 사장의 창간사가 보인다. 인천상공회의소가'인천지역발전의 등불이 되어 뜨겁게 타오르라!'는 1면 광고를 게재했다. |
'150만 인천시민이 그렇게도 안타까이 소망하고 원하였던 우리의 향토지 인천신문이 15년 만에 드디어 오늘 첫 선을 보인다. 지역신문은 지역주민들에게 있어 지역사회를 보게 하는 눈과 같은 것이다. 지역의 신문을 잃는다는 것은 주민의 그 사회의 장님이 되는 것과 다름 아니다. 73년 지방지 통폐합으로 인천에서 일간신문이 없어진 것은 결국 시민이 눈을 잃은 것과 같다…중략…인천신문은 87년 6·29 민주화 선언 이후의 일대 전환과 함께 정치 경제 및 사회 문화 모든 분야에서 민주화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구시대 언론정책의 청산과 더불어 특히 인천을 중심으로 한 서해안 시대와 지방화 시대의 도래와 때를 같이 하여 창간됨으로써 그 의의가 크며 시민들의 높은 기대에 부응하게 된 것이다.'
1988년 7월15일자 '인천신문'(현 인천일보) 창간사는 인천 언론 공백기 15년의 긴 암흑의 터널을 뚫고 횃불을 높이 들었음을 역설하고 있다. 인천신문은 1987년 국민들의 민주화 불길이었던 6월 항쟁의 산물이었다.
1987년 6월29일 당시 여당이던 민정당 대표 노태우는 국민들의 민주화와 직선제개헌 요구였던 6월 항쟁에 항복해 '특별선언'을 발표했다. 6·29선언에 따라 인천사람들은 "이제 내고장 신문을 만들 수 있게 됐다"며 뜨거운 눈물을 흘렸다. 1987년 10월14일 경인일보사 임시 주주총회에서 인천지역 주주들이 인천지역에 새로운 신문사를 설립하겠다는 안건을 내놨다. 같은 해 11월 인천지역 법인을 포함함 15인의 주주들은 '인천신문사 발기위원회'를 구성하고 자본금을 7억 5천653만 원으로 확정했다.
내고장 신문이 없었던 인천의 주주 15인은 언론자율화 전까지 자의반 타의반으로 현 경인일보의 전신인 경기신문 출범에 참여했던 터였다. 언론자율화 발표 당시 인천지역 주주들의 지분은 58%로 수원지역 주주 42%보다도 비율이 높았다. 여기서 58%의 주주들이 빠져나와 인천신문을 창간한 것이다.
주요 참여주주와 법인은 동양석유(대표 박상복), 선광기업(대표 심명구), 영진공사(대표 이기성), 한일기업(대표 신동준), 공성운수(대표 심영섭), 기독병원, 길병원, 제물포버스(대표 송창용), 한염해운(대표 문병하) 등이었다. 문병하 한염해운 사장을 대표이사로 한 '주식회사 인천신문사'는 1988년 4월25일 공보처로부터 등록인가를 받는데 성공한다.
편집국 진용 역시 1980년 경기신문 편집국장을 역임한 오광철, 1973년 경기매일신문 편집부장과 부국장을 지내던 오종원 씨를 비롯해 김창수, 이재호, 최용표, 정종웅 씨 등 인천에서 오랫동안 현장을 뛰던 언론인들로 짜여졌다. '인천일보의 창간'이 '대중일보의 복간'이나 다름없다고 보는 이유는 이처럼 인천지역 언론인들이 대거 참여하고 경인일보 지분도 58%나 인천으로 가져왔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원로 언론인 오종원 씨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인천신문의 창간은 대중일보나 경기매일신문의 복간이라고 봐야 합니다. 저 자신도 경기매일기자였고 인천의 신문이 수원으로 통합됐을때 수원으로 가지 않고 인천에 남아있었으니까요."
|  | | |
1951년 인천신보 기자와 1970년 경기매일신문 논설위원을 지낸 원로 언론인 김상봉 씨는 이렇게 말한다. "촛불도 없는 땅에 횃불이 생겼으니 얼마나 좋았겠습니까?"
그는 1973년 인천의 신문들이 수원지역의 신문으로 통합되자 인천에서 신문불매운동을 벌이기도 한 인물이다.
인천일보는 이후 지역사회의 공익을 위한 목소리를 적극 대변하는 한편 북구청 세무비리, 굴업도 핵폐기장, 마지막 정신대 훈할머니, 부평미군부대, 남동구 집단괴종양, 철강회사 불법폐기물 매립 등 굵직굵직한 특종을 통해 우리지역 사회의 치부까지 거침없이 파헤치며 인천언론의 기둥 역할을 해왔다.
한편 인천일보가 창간한 5일 뒤 인천지역에 또 하나의 일간지가 등장했다. '기호신문'(현 기호일보)은 인천시 중구 중앙동 1번지에서 조용히, 그러나 빠르게 창간작업을 진행했다. 처음 '경기교육신보'라는 주간지를 발행하던 서강훈 현 회장은 1988년 7월20일 일간지로 전환한 것이다. 기호일보는 '2011년 지역신문발전기금 우선지원대상자'로 선정될 만큼 괄목의 성장을 했다. 이후 인천일보에서 분리된 '인천신문'이 2006년 5월15일 지역언론의 창달이란 기치를 내걸고 창간호를 발행했다.
2011년 현재 인천시청에 출입하는 언론매체는 통틀어 40개에 이르지만 인천에 본사를 둔 주요 신문은 인천일보와 기호일보, 인천신문 등 3개 정도다. 경인일보와 경기일보, 경기신문, 중부일보 등은 수원에 본사를 두고 있으나 인천에서도 본사 형태로 운영 중이다. 이들 인천이나 수원에 본사를 둔 언론사들은 경영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본사위치에 상관없이 인천·경기 지역 모두를 주요 독자층과 광고시장으로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전국지가 발행되는 서울에 인접한 수도권이라는 점, 온라인 매체의 등장, 신문사 과당경쟁과 종편사업에 따른 광고시장의 축소 등 여러 가지 문제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때문에 '저널리즘적 가치'가 훼손될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언론이 추구해야 할 지향점은 분명하다고 지역 사회는 입을 모은다. 바로 '지역사회의 공익'과 '풀뿌리 민주주의 정착'을 지향해야 한다는 점이다.
원로 언론인 오종원 씨는 "인천인구가 300만에 이른다고 하는데 문화, 복지, 의료 등은 엉망입니다. 인천일보와 같은 인천의 정통언론이 인천시와 시의회를 잘 감시하고 아픈 기사를 많이 써야 합니다. 그래야 지역이 살고 언론도 사는 거예요. 있는지 없는지 존재감을 못 느낀다면 이미 신문의 생명은 끝난 거지요"라고 말했다.
또 다른 원로 김상봉 씨는 "신문사를 운영하는 경영인들은 경영을 기자들에게 의지해서는 안됩니다. 좋은 기사를 쓸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줘야 합니다. 기자들은 공부를 많이 해서 질 높은 기사를 써야 하지요. 언론은 그사회의 구심점 역할을 해야 하는 겁니다"라고 강조했다. /김진국·노승환기자 freebird@itim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