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지역_서울 경기 및 지방의 종합/※파주(시장).(주변: 김포, 강화, 고양, 부천

'한강하구 활용 어떻게'…경기도, 밑그림 그렸다/ '한강하구 평화적 활용방안' 나왔다, 4분야 15사업

'한강하구 활용 어떻게'…경기도, 밑그림 그렸다/ '한강하구 평화적 활용방안' 나왔다, 4분야 15사업

 

***

'한강하구 활용 어떻게'…경기도, 밑그림 그렸다

  •  
  • 기사입력 2019.10.17 15:25

 

한강하구 활용 계획도. 경기도 제공

 

경기도가 한강하구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밑그림을 마련했다.

경기도는 17일 의정부시에 있는 경기도 북부청사 상황실에서 '한강하구 남북 공동수역의 평화적 활용을 위한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경기연구원은 연구용역 보고회를 통해 생태자원 조사, 옛 포구 역사·문화 복원, 평화 도보다리 건설 등 4개 분야 15개 사업을 제안했다.

연구용역은 한강과 임진강이 만나는 파주시 탄현면 만우리부터 서해 강화군 서도면 말도까지 한강하구 67㎞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이곳은 정전협정상 군사분계선이 없는 중립수역으로, 70년 가까이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아 생태·역사적 가치가 높다.

생태·환경, 관광·지역 개발, 교통·사회간접자본(SOC), 산업·경제 등 4개 분야에 걸쳐 제시된 15개 사업은 정부에 제안해 내년부터 추진할 방침이다.

생태·환경 분야 제안된 사업은 한강하구의 제도적 관리대안 및 법적 요건 연구, 한강하구 생태자원 특성 남북 공동조사, 한강하구 수산자원 현황 파악과 남북 공동 활용, 한강하구 중립수역 남북 공동 람사르 습지 등재 및 관리 등이다.

관광·지역 개발 분야에는 고양 신곡수중보∼김포 연안∼서해 및 파주 임진강 뱃길 복원, 포구마을 조성, 한강하구 도보길 조성 등의 사업이 제시됐다.

교통·SOC 분야는 평화 도보다리 건설, 남북 연결도로 건설, 평화시장 플랫폼 설치 등 3개 사업이다.

산업·경제 분야는 남북 수산 협력, 수산 종묘 배양장 건립, 남북 농식품 유통센터 건립, 경기북부 농업기술원 개원, 남북경협 활성화를 위한 자유무역지대 지정 등 5개 사업이 포함됐다.

이 밖에 경기연구원은 한강하구 연접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는 '한강하구 거버넌스 구축 방안, 남북 협력을 이끌 '남북 지역협의회' 구성 방안, 정부 차원의 DMZ·한강하구 관리 전담기구인 'DMZ·한강하구 관리청 설치' 방안도 함께 제시했다.

경기도는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구체적인 추진계획을 수립해 내년부터 정부, 시·군과 함께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신명섭 경기도 평화협력국장은 "한강하구의 평화적 활용은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이자 민선 7기 경기도의 중점사업"이라며 "한강하구가 새로운 평화공간이 되도록 관련 주체들과 협력해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


저작권자 © 중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강하구 평화적 활용방안' 나왔다, 4분야 15사업

기사입력 2019.10.17. 오후 2:51 기사원문 스크랩

 

오류를 우회하기 위한 함수 추가

한강하구 평화적 활용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의정부=뉴시스】배성윤 기자 = 한반도 평화시대 ‘한강하구 남북공동수역’의 평화적 활용을 위한 구체적 청사진이 나왔다. 2020년부터 생태자원조사, 옛 포구 역사·문화 복원, 평화 도보다리 건설 등 4대 분야 15개 사업을 추진하는 방안이 담겼다.

경기도는 17일 경기도청 북부청사 상황실에서 이러한 내용의 ‘한강하구 남북공동수역의 평화적 활용을 위한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신명섭 경기도 평화협력국장, 김철환 도의원을 비롯한 도·시군, 경기연구원 등 관계자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기연구원이 올해 1월부터 수행해온 연구용역의 최종 결과를 발표하고 이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번 연구용역은 평화시대를 맞아 한강하구의 경제적·생태적·역사적 가치를 재평가하고 평화적 활용을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시행하는 사업이다.

연구는 한강과 임진강이 합류하는 파주 탄현면 만우리 일원부터 서해의 강화군 서도면 말도 일원까지 약 67㎞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이 지역은 정전협정상 군사분계선이 없는 중립수역으로, 그간 군사적 대치로 70여년간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아 생태·역사적으로 가치가 높다.

이날 발표된 내용을 살펴보면 생태·환경, 관광·지역개발, 교통·SOC, 산업·경제 등 4대 분야 15개 사업이 제안됐다.

‘생태·환경’ 분야로는 한강하구의 제도적 관리대안 및 법적 요건 연구, 한강하구 생태자원 특성 남북공동조사, 한강하구 수산자원 현황 파악 및 남북공동 활용, 한강하구 중립수역 남북공동 람사르습지 등재 및 관리 등 4개 사업이 제시됐다.

‘관광·지역개발’ 분야에는 뱃길(신곡수중보~김포 연안~서해 및 파주 임진강) 복원, 포구마을 조성(역사·문화 복원), 한강하구 도보길 조성 등 3개 사업이 포함됐다.

‘교통·SOC’ 분야로는 평화 도보다리 건설, 남북 연결도로 건설, 평화시장 플랫폼 설치 등 3개 사업이 제안됐다.

‘산업·경제’ 분야에는 남북 수산협력, 수산종묘배양장 건립, 남북 농식품 유통센터 건립, 경기북부 농업기술원 개원, 남북경협 활성화 위한 자유무역지역 지정 등 5개 사업이 담겼다.

특히 향후 남북관계를 고려해 단기·중기·장기로 구분해 사업을 추진하는 방안과 함께 한강하구 연접 지방자치단체들이 참여하는 ‘한강하구 거버넌스’ 구축 방안, 남과 북의 협력을 이끌어 내기 위한 ‘남북 지역협의회’ 구성 방안, 중앙정부 차원에서의 DMZ·한강하구 관리 전담 기구인 ‘DMZ·한강하구 관리청 설치’ 방안 등도 함께 제시됐다.

도는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구체적인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2020년 초부터 예산과 인력을 확보한 후 지자체 협의, 중앙부처 건의, 북측과의 협의 등을 병행해 사업들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신명섭 경기도 평화협력국장은 “한강하구의 평화적 활용은 현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이자 민선7기 경기도의 중점사업”이라며 “한강하구가 DMZ와 함께 또 하나의 새로운 평화공간이 될 수 있도록 관련 주체들과 협력해 사업을 원활히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shinybae@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