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www.mediawhy.com/news/photo/201311/43116_32123_329.jpg) |
|
▲ 지난 2010년 지방선거 과정에서 민주당-민주노동당 수원시장 후보 간 이면합의가 있었다는 증언이 나와 파장이 예상된다.(사진은 본지가 입수한 민주당-민노당 화성시장 후보 간 작성된 이면합의서) | (미디어와이 = 최대호 기자) 지난 6·2 지방선거 당시 수원시장 후보 야권단일화 과정에서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간 이면합의가 있었다는 증언이 나와 파장이 예상된다.
이면합의 존재 여부에 대한 증언은 내란음모 수사 관련 국정원에 RO 모임의 핵심 내용을 제보했던 이모(전 수원시친환경급식지원센터장)씨에 의해 제기됐다.
21일 수원지법 형사12부(부장판사 김정운) 심리로 열린 6차 공판에서 검찰측 증인으로 나온 이씨는 “2010년 지방선거 당시 민주당과 민노당 수원시장 후보 간 이면합의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씨는 “이면합의 가운데 마지막 항목이 ‘급식지원센터 만들고 민노당이 맡는다’는 내용이어서 이상호 피고인으로부터 지시받아 센터장을 받게 됐다”고 증언했다.
이씨는 이어 “이면합의서는 파기했다고 들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씨의 이 같은 증언을 언론을 통해 접한 수원시는 해명자료를 통해 즉각적인 선긋기에 나섰다.
수원시는 이날 오후 긴급 해명자료를 내고 “이씨의 증언은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일방적 주장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수원시는 “2010년 5월 14일 진행된 민주당-민노당 수원시장 후보 단일화 합의 기자회견에서 양당은 정책공조와 공동지방정부 구성을 위한 실무기구를 구성, 협의해 가기로 했지만 지방선거 이후 민주노동당과 시민사회가 참여하는 ‘시민참여형 공동지방정부’ 구성은 실무협의 과정에서 무산됐다”고 주장했다.
수원시는 “(민노당과)이면합의는 없었다”며 “친환경무상급식지원센터장의 채용은 보편적 복지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성과 활동 경력을 기준으로 공개채용(2명 응시), 면접 등의 적법 절차에 따라 임용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이석기 사태로 수원시와 화성시 등 경기도내 일부 민주당적 시장의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지방선거 당시 민노당과의 연대가 불편해 졌기 때문이다.
본지는 지난 지방선거 당시 화성지역에서 민주당과 민노당 시장후보 간 이면합의서가 실재 존재했음을 단독 보도(http://www.mediawhy.com/news/articleView.html?idxno=24725) 한 바 있다.
당시 양당 화성시장 후보들은 연대 과정에서 공식 발표한 선거연대 합의문 외에 비공개 지방공동정부 구성을 위한 부속합의서를 작성했으며 해당 문건에는 “노동인권문화센터 센터장은 민노당 추천인사가 맡고 친환경급식센터 센터장 및 운영책임도 민노당에 일임한다” 등의 내용이 포함돼 있었다. < 저작권자 ©미디어와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