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도시재생뉴딜사업 발전을 위해 선제적으로 소규모 재생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소규모재생사업은 지역주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소규모 마을정비의 일환으로써 향후 기반시설 정비를 동반한 도시재생뉴딜사업으로 확장시키겠다는 게 정부 방침이다.
국토교통부는 이달 14일부터 오는 6월 8일까지 약 4주 동안 소규모 재생사업 신청·접수를 받는다고 밝혔다. 신청·접수된 곳은 2주간 주거복지, 일자리 창출 등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주요 목표와 연계성을 중점적으로 평가한 후 6월 말 50여곳을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소규모 재생사업은 지역주민이 도시재생 과정에 직접 참여해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하는 방식의 점 단위 프로젝트 사업에 속한다. 소규모 재생사업지로 선정되려면 지역주민이 지자체에 사업을 제안하고 지자체에서 구체적인 사업계획서를 국토부에 신청해야 한다. 사업별로 약 5,000만원에서 최대 2억원까지 국비가 지원된다. 소규모 재생사업의 성공 모델 발굴을 통해 도시재생뉴딜사업으로 발전시킬 토대를 구축하겠다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한편, 국토부는 소규모 재생사업, 도시재생뉴딜사업 지원을 비롯해 올해 도시재생뉴딜사업 선정계획 내용과 사업모델을 지자체에 안내하기 위한 설명회도 개최했다. 이미 지난달 서울, 대전, 광주, 전북 군산, 부산, 대구, 경북, 안동, 인천, 강원, 춘천, 경기 성남, 제주 등 각 지자체별로 도시재생뉴딜사업 관련 설명회를 마친 상황이다. 향후 국토부는 지역 주민들이 사업성과를 조기에 체감할 수 있도록 시범사업을 우수사례로 발전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이혁기 기자 lee@arunews.com